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통일신라문화는 신라의 삼국통일 이전부터 다져지기 시작하였다. 묘제에 있어서는 돌방무덤[石室墳]이 널리 확산되며, 왕실무덤의 경우 호석(護石), 12지신상(十二支神像), 문·무인석(文 武人石) 등이 배치된 정형화된 능묘(陵墓) 양식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불교의 영향으로 귀족사회에 화장(火葬)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토기에 있어서도 각종 무늬를 찍어 눌러 표현한 도장무늬토기[印花文土器]가 널리 쓰이고, 불교와 화장이 유행함에 따라 뼈항아리[骨壺]나 사리합(舍利盒) 등의 장골용기(藏骨容器)도 발달하였다. 또 시유도기(施釉陶器)도 제작되는 한편 중국 수당시대(隋唐時代) 자기의 영향을 받아 병모양토기[甁形土器]가 널리 사용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더욱 발달하는 기와와 전돌은 성당문화(盛唐文化)의 자극으로 한층 세련되어 갔다. 660년 백제,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신문왕대(神文王代)의 체제정비 이후 국가가 혼란기에 접어드는 8세기 후반까지 정치적으로 안정되었으며, 중국 당(唐)과 일본 및 서역과의 교류 등을 통하여 문화적으로도 황금기를 맞이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와 전돌 신라에서 기와는 6세기 후반무렵에 독자적인 양식이 출현하여 통일이후 성당문화(盛唐文化)의 자극으로 여러 복합과정을 거치면서 새롭고 다양한 형태가 제작되었다.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이전에 거의 제작되지 않던 암막새와 사래기와 및 마루기와가 만들어지며, 무늬도 이전에 유행한 연꽃무늬[蓮花文]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채로운 무늬가 채용되었다.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의 꽃잎은 홑꽃잎[單瓣]에서 겹꽃잎[複辦]으로 변화하였고, 막새 테두리에는 구슬무늬[連珠文]가 장식되었다. 연꽃무늬 외에 보상화(寶相花)·인동(忍冬)·당초(唐草) 등의 서화무늬[瑞花文]나 봉황·기린·사자 등의 서수무늬[瑞獸文], 그리고 가릉빈가(迦陵頻伽)·보살(菩薩) 등의 불교 관련 무늬가 다양하게 베풀어진다. 한편 궁궐이나 격이 높은 사찰에서는 녹유(綠釉) 기와나 각종 전돌[塼]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전돌은 연꽃무늬나 보상화무늬가 베풀어진 방형 혹은 장방형의 바닥전돌이 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