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2층)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입니다. 이곳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한국의 근대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래 도입된 서양과학기술서적과 문물, 실학자들의 각종 저서와 고지도에서 조선후기 사회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친필 글씨 등 독립운동자료는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느끼게 해줍니다. * 안중근의사 친필 글씨 Calligraphy by An Jung-geun

조선 후기 실학(實學)이 등장하고 서양문물, 곧 서학(西學)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조선사회는 동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시대적 변화에 상응하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불평등조약으로 대외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개화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근대적 개혁이 시도되고, 독립협회를 비롯한 여러 애국계몽단체들이 자주적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매진하였으나 일제의 무단침략으로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일제강점하에서 우리민족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강압에 굴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끊임없이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제의 잔혹한 민족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민족 보전 및 국가 독립을 위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마침내 해방을 맞이하였습니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는 이와같은 전통과 근대, 척사와 개화, 민족운동과 저항이라는 근대사의 갈등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양의 천문지리 관련유물 등의 서학자료와 실학자료를 통해 근대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고, 타율적 개항에 의한 세계질서로의 편입과정에서 봉건과 반봉건 움직임,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식의 성장, 개화운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 이후 3 1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자료와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자료에서 굴절된 식민지 역사를 개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조선후기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거치면서 성리학의 지도이념이 사회개혁의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자 조선사회의 통치질서는 동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서학(西學)의 수용과 실학(實學)의 등장은 이러한 조선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 인식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서학은 좁은 의미로는 천주교(天主敎)를 뜻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서양에서 전래된 종교를 포함한 사상과 각종 문물을 일컫습니다. 중국을 통한 천문 역법 산학 지리 종교 등 서학관련 서적의 유입은 봉건적 세계관에 갇혀 있던 지식인들을 각성케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들의 서구 과학문물에 대한 적극적 관심은 봉건적 사고의 탈피와 근대적 지식체계의 수용과정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됩니다. 실사구시(實事求是)와 이용후생(利用厚生)을 표방하며 등장한 실학은 실생활의 이익을 목표로 정치 경제 지리 천문 금석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척시켰습니다. 농업중심의 개혁을 주장한 경세치용학파(經世致用學派), 상공업의 번영을 통해 사회발전을 꾀하였던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 금석(金石) 전고(典故)의 고증을 위주로 하는 실사구시학파(實事求是學派)로 구분되는 실학의 학문적 경향 은 19세기 초반 정약용에 의해서 집대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실학은 전통적인 성리학적 질서를 비판하고 서구의 사상과 선진문물을 적극 수용하고자 하여 근대화의 학문적, 이념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연행사절단의 선교사 접촉 16세기 말경 청나라에 들어온 가톨릭이 조선에 전해진 것은 외부 세계와의 유일한 통로인 사신 왕래를 통해서였다. 일찍이 병자호란 패배로 청나라에 볼모로 갔던 소현세자는 예수회 신부 아담 샬(Adam Shall, 湯若望)과 교유하면서 서구과학 지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서양과학기술 서적과 기물을 들여왔습니다. 그러나 본격적인 교류는 한·중간의 정기 외교사절이었던 입연사행(入燕使行), 부경사행(赴京使行)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그곳에 있는 천주교회당을 찾아보고 선교사들과 대화를 나누며 서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서학관계 서적과 기물을 국내에 들여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