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남한지역에는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의 삼한(三韓)이 형성되고 있었다. 마한은 충청·전라지방에, 진변한은 영남지방에 각각 자리잡고 점차 자신들의 문화를 발전시켜갔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묘제에도 반영되어 마한지역에서는 무덤 주위에 도랑[周溝]을 돌린 움무덤[土壙墓]이, 진변한지역에서는 널무덤[木棺墓]과 덧널무덤[木槨墓]이 차례로 유행하였다. 이때의 주요한 문화적 변화는 철기 보급이 가속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서북한지역을 거쳐 두드림무늬토기[打捺文土器]의 제작기술이 남한지역으로 파급된다는 점이다. 철제농기구의 사용으로 농업생산력이 증대되고. 철제무기의 사용으로 정복전쟁이 빈번해져 정치체간, 지역간의 통합이 가속화되었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타날문 회도(灰陶)에서 유래된 두드림무늬토기 제작기술은 낙랑군(樂浪郡) 설치를 전후하여 남한 각지로 파급되어 원삼국토기 생산체제를 성립시켰다. 한편 삼한지역에는 낙랑 등 한군현(漢郡縣)을 통하여 대륙문화와 접하면서 중국 및 북방 계통의 여러 외래문물이 전해졌다. 철 또는 철기는 교역의 매개 수단이자 주요한 수출품목이기도 하였으며, 삼한지역으로 유입된 외래유물들은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물품으로 수장묘(首長墓)나 조개무지[貝塚] 등에서 종종 출토되고 있다.

원삼국토기 원삼국시대의 토기는 선사시대의 토기와는 달리 정선된 바탕흙[胎土]의 사용, 두드림기법[打捺技法]에 의한 표면 조정, 물레(회전판)에 의한 성형(成形), 밀폐가마[登窯]에서의 소성(燒成) 등 새로운 제작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이 가운데 두드림기법의 사용과 밀폐가능한 가마의 사용이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는데, 두드림기법은 두드림판과 받침모루[內拍子]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토기 외벽을 두드려 바탕흙의 결합력을 높이고 여러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토기제작 기법이었으며, 밀폐가마에서는 가마의 개폐를 통하여 내부의 온도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 고화도(高火度) 소성이 가능해져 선사시대의 적갈색토기보다 단단한 회색토기를 만들 수 있었다. 이때의 토기는 크게 중도식민무늬토기[中島式無文土器]와 두드림무늬토기[打捺文土器]로 나눌 수 있다. 중도식민무늬토기는 재래의 민무늬토기 전통 위에 새로이 전국계(戰國系) 두드림무늬토기 제작기술이 가미되어 출현한 것으로, ‘풍납리식민무늬토기[風納里式無文土器]’ 혹은 ‘경질민무늬토기[硬質無文土器]’라고 불리기도 한다. 보통 아가리가 밖으로 급하게 꺽여 목부위가 뚜렷하지 않은 형태를 지니며, 종류로는 깊은바리[深鉢]·항아리[壺]·뚜껑[蓋] 등이 있다. 두드림무늬토기는 토기를 단단하고 고르게 하기 위해 두드림도구를 이용하여 겉면에 노끈무늬[繩席文]나 창살무늬[格子文] 등을 베풀어 놓은 토기를 말한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회도(灰陶)에서 비롯되었으며 원삼국시대에 들어와 대표적인 토기로 자리잡게 되었다. 보통 적갈색연질, 회색연질, 회청색경질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무늬의 종류와 생긴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나 가장 많이 출토되는 것은 노끈무늬나 창살무늬가 베풀어진 깊은바리[深鉢]와 짧은목항아리[短頸壺]라 할 수 있다. 지역에 따라 그릇의 모양이나 질감이 서로 달라 구별되는데 한강유역의 경우 중도식(中島式)의 민무늬토기[深鉢]와 두드림무늬가 베풀어진 짧은목항아리[短頸壺]가 많이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중도식의 민무늬토기의 비중이 높지만 후기에는 연질(軟質)과 경질(硬質)의 두드림무늬토기로 대체된다. 하남 미사리, 수원 서둔동 등 주로 집자리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