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기원전 10세기경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와 민무늬토기를 사용하고 농경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여 청동기시대로 접어든다. 농경은 더욱 발달하고 벼농사와 개 돼지 등의 가축사육도 행해져서 생산력이 크게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인구도 많이 증가한다. 인구의 증가는 각 지역별로 취락(聚落)의 형성과 확대를 더욱 촉진하였으며, 확대된 취락내에서는 서서히 지배자가 등장하게 된다. 취락은 대개 평야 혹은 하천과 가까운 야산이나 구릉에 위치하며 그 주위에 경계와 방어를 위한 도랑[環濠]을 파거나 나무울타리[木柵]를 세우기도 하였다. 집은 네모꼴이나 긴네모꼴의 움집[竪穴住居]이 많지만 남부지방에서는 특유의 둥근꼴 움집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무덤으로는 고인돌[支石墓] 돌널무덤[石棺墓] 독무덤[甕棺墓] 등이 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땅위에 판돌을 세워 주검칸을 만들고 그 위에 크고 편평한 덮개돌을 덮은 탁자식(卓子式), 땅밑에 판돌이나 깬돌로 주검칸을 만들고 굄돌위에 덮개돌을 놓은 바둑판식[碁盤式], 굄돌없이 덮개돌을 덮은 개석식(蓋石式)으로 구분된다. 돌널무덤은 땅속에 판석으로 주검칸을 만들고 널뚜껑을 판자나 판돌로 덮은 것이다. 이러한 무덤에는 붉은간토기·돌검·돌살촉·동검·장식옥 등이 껴묻혀 있다. 한편 금강유역 일대에서는 일상용토기를 널로 사용한 홑독널[單甕棺]이 발견되기도 한다.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청동유물은 요령지역에서 유래된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을 표지로 하는 비파형동검문화기(전기)와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비롯한 한국적인 청동기의 특징이 확립되고 철기가 유입된 세형동검문화기(후기)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비파형동검문화기에 청동유물의 출토예는 많지 않은 편이다. 집터에서의 출토예는 거의 없고, 고인돌을 비롯한 무덤에서 주로 출토되며, 제사유적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부채날도끼[扇形銅斧]·거친무늬거울[多뉴粗紋鏡] 등이 있으나, 남한지역에서는 주로 비파형동검이 출토되고 있다. 세형동검문화기에는 청동기의 제작이 증가하고 다양해지며 재질은 백동질(白銅質)인 점이 특징이다. 고인돌에서의 출토사례는 거의 없고, 깊은 움에 나무널을 안치하고 돌을 채운 형태의 무덤[積石木棺墓]에서 주로 출토된다. 세형동검(細形銅劍)·꺾창[銅戈]·투겁창[銅모] 등의 무기류, 도끼[長方形銅斧]·자귀[有肩銅斧]·끌[銅鑿]·새기개[銅사] 등의 공구류, 잔무늬거울[多뉴細文鏡], 그리고 방울[銅鈴] 등의 의기류가 있다. 이외에도 곱돌[滑石]로 만든 거푸집[鎔范]도 확인되며 철기문화가 수용된 이후에는 무기류가 장식화, 의기화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