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2층)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입니다. 이곳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한국의 근대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래 도입된 서양과학기술서적과 문물, 실학자들의 각종 저서와 고지도에서 조선후기 사회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친필 글씨 등 독립운동자료는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느끼게 해줍니다. * 안중근의사 친필 글씨 Calligraphy by An Jung-geun

조선 후기 실학(實學)이 등장하고 서양문물, 곧 서학(西學)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조선사회는 동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시대적 변화에 상응하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불평등조약으로 대외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개화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근대적 개혁이 시도되고, 독립협회를 비롯한 여러 애국계몽단체들이 자주적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매진하였으나 일제의 무단침략으로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일제강점하에서 우리민족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강압에 굴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끊임없이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제의 잔혹한 민족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민족 보전 및 국가 독립을 위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마침내 해방을 맞이하였습니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는 이와같은 전통과 근대, 척사와 개화, 민족운동과 저항이라는 근대사의 갈등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양의 천문지리 관련유물 등의 서학자료와 실학자료를 통해 근대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고, 타율적 개항에 의한 세계질서로의 편입과정에서 봉건과 반봉건 움직임,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식의 성장, 개화운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 이후 3 1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자료와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자료에서 굴절된 식민지 역사를 개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1910년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제는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헌병경찰제를 통한 ‘무단통치’를 감행하였다. 자주민족세력에 대한 탄압과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양민의 경제적 수탈이 극심한 상태에서 발생한 ‘3·1운동’은 일제의 식민정책을 ‘문화정치’로 전환케 하였으나 실제적인 탄압은 지속되었고 경제적 수탈 역시 산미증식계획 등으로 계속되었다. 1930년대 이후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물적 수탈과 강제적인 인적 동원이 자행되었으며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신사참배(神社參拜), 창씨개명(創氏改名) 등을 강요하였다. 삼일운동 이후 중국에 설립된 임시정부와 만주의 독립군를 중심으로 해외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국내에서도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의 항일시위운동과 소작쟁의, 노동쟁의 등의 경제투쟁, 그리고 국학운동 등의 문화운동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특히 임시정부는 항일독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면서 해외의 민족운동을 주도하였다. 국내에서는 민립대학설립운동과 같이 민족교육 보급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물산장려운동으로 민족기업을 보호, 육성하고자 하면서 민족운동의 역량을 키웠나갔다. 이러한 항일민족운동은 8·15해방의 밑거름이 되었다.

임시정부활동 3·1운동 직후 조국 광복을 위한 독립운동의 거점을 마련하고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19년 4월 11일 상해 임시정부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을 구성하고 각 도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개조를 채택 발표하였고, 4월 1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조직하여 관제를 발표하였다. 초대 각료로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李東寧), 국무총리 이승만(李承晩),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 외무총장 김규식(金奎植) 등이 임명되었다.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자금 확보를 위한 연통제(聯通制)를 실시하고 독립신문을 발행하여 독립사상의 고취에 힘썼다. 이와 함께 임시정부는 의열투쟁과 독립군단체 지원·광복군 창설 등 항일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연합군의 일원으로 미얀마 등지에 군대를 파견하였다. 1945년 미군과 함께 국내 진입작전을 계획하던 중 8·15해방을 맞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