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가 기원전 57년, 고구려가 기원전 37년, 백제가 기원전 18년에 각각 건국되어 주변세력들을 통합하고 고대국가로 발전되어 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성곽과 대형 고분의 출현, 특정 토기양식의 일정한 분포 등 고대국가의 성립을 드러내는 고고학자료는 이와 다르게 나타난다. 고구려의 발흥지로 오녀산성(五女山城)이 있는 환인(桓因)지방과 국내성(國內城)이 있는 집안(集安)지방에서는 돌무지무덤[積石塚]이 늦어도 기원전 2세기 경부터 축조되고 있었으며, 고구려 토기의 성립을 보여주는 노남리형토기는 기원후 1세기에 출현하였다. 이로 보아 고구려는 서기 1세경에는 왕국으로 발돋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구려는 중국 세력과 쟁투를 벌이며 요동 요서지방으로 진출을 꾀하였고, 313년에는 낙랑군을 멸망시켰다. 427년 평양으로 도읍을 옮긴 고구려는 남방진출을 본격화했다. 서울 강남지역에서 성장해가고 있던 백제는 풍납토성(風納土城)과 몽촌토성(夢村土城)의 축조, 봉토분(封土墳)의 등장, 검은간토기를 비롯한 백제토기의 형성으로 보아 3세기 중 후반경에 왕국으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371년 평양성 전투에서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킬 만큼 강성했던 백제는 이후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밀려 475년 웅진(熊津), 523년 사비(泗沘)로 천도하였으나, 중국 남조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세련된 문화를 발전시켜 갔다. 경주를 중심으로 성장해간 신라는 3세기 후반경 신라식이라고 할 수 있는 덧널무덤[細長方形木槨墓]을 출현시켜 그 정체성을 드러내었고, 월성(月城)이 축조되고 거대한 봉토로 덮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과 신라양식토기가 4세기 중엽경에 출현하여 고대 왕국으로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6세기에 들어와 고대국가로서의 체제를 일신한 신라는 낙동강 서쪽의 여러 가야세력을 차례로 통합하고, 이어서 6세기 후반에는 소백산맥을 넘어 한강유역으로 진출하면서 삼국 사이의 치열한 경쟁에 휘말리게 되나 결국 통일전쟁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귀금속장신구와 유리옥장신구 삼국시대에는 이전과는 달리 관(冠), 관식(冠飾), 허리띠장식[帶金具], 귀걸이[耳飾], 반지[指環], 팔찌[釧]신발[飾履], 각종 드리개[垂飾] 등의 다양한 금속제 장신구가 발달하였다. 이 가운데 금·금동·은 등의 귀금속으로 만든 장신구는 대형고분에서 주로 출토되며 사용계층이 한정된 만큼 출토 예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경주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에서는 화려하고 다양한 귀금속 장신구가 출토되고 있어 당시 신라사회에서 지배계층의 분화나 지배방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옥 혹은 구슬은 선사시대 이래로 신분이나 권위의 상징물로 애용되어 왔으며, 삼국시대에는 주로 목걸이[頸飾], 가슴걸이[胸飾], 반지[指環], 팔찌[釧] 등을 구성하는데 많이 사용되었다. 삼국시대에 들어와서도 곱은옥[曲玉]·대롱옥[管玉] 등이 여전히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소재로는 천연석이나 보석류, 유리 등이 쓰였다. 그 가운데 유리가 가장 흔히 쓰인 재료였고 이밖에 벽옥, 연옥, 수정, 경옥, 호박, 마노, 홍옥수, 천하석 등도 많이 사용되었다. 한편 유리구슬 내에 다른색 유리로 상감무늬를 넣거나[象嵌文玉]이나 줄무늬를 돌린 구슬[練理文玉], 혹은 표면에 점무늬 등을 묘사한 구슬[蜻蛉文玉]의 경우, 또는 유리에 금박이나 은박을 입혀 만들거나[金箔琉璃玉] 때로는 귀금속으로 부속장식을 붙여서 모자를 씌운[金帽] 경우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동원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