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2층)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입니다. 이곳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한국의 근대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래 도입된 서양과학기술서적과 문물, 실학자들의 각종 저서와 고지도에서 조선후기 사회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친필 글씨 등 독립운동자료는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느끼게 해줍니다. * 안중근의사 친필 글씨 Calligraphy by An Jung-geun

조선 후기 실학(實學)이 등장하고 서양문물, 곧 서학(西學)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조선사회는 동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시대적 변화에 상응하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불평등조약으로 대외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개화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근대적 개혁이 시도되고, 독립협회를 비롯한 여러 애국계몽단체들이 자주적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매진하였으나 일제의 무단침략으로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일제강점하에서 우리민족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강압에 굴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끊임없이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제의 잔혹한 민족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민족 보전 및 국가 독립을 위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마침내 해방을 맞이하였습니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는 이와같은 전통과 근대, 척사와 개화, 민족운동과 저항이라는 근대사의 갈등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양의 천문지리 관련유물 등의 서학자료와 실학자료를 통해 근대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고, 타율적 개항에 의한 세계질서로의 편입과정에서 봉건과 반봉건 움직임,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식의 성장, 개화운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 이후 3 1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자료와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자료에서 굴절된 식민지 역사를 개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조선사회는 봉건적 질서에서 벗어나 근대사회로 나아가야 하는 반봉건 개화라는 과제와 제국주의 세력의 식민정책에 맞서 민족자주를 이루어야 하는 반침략 자주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조선은 1876년 강화도조약이라는 일본에 의한 강압적 개항으로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었으나 곧 서구열강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조선정부는 수신사·신사유람단·영선사를 파견하고,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는 등 근대문물을 수용하려 하였으나 위정척사의식을 지녔던 수구세력들의 반발로 성과를 볼 수 없었다. 일본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노골적인 간섭으로 조선을 식민지화하려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민의 끊임없는 저항을 받았다.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근대적인 정치단체의 활동이 두드러지지만 결국 해체되고,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애국계몽단체들의 실력양성운동이 전개되었다. 애국계몽세력들은 언론출판활동에 주력하며 국민계몽을 선도하였고, 이를 통한 민족의식의 고취와 근대사상의 유포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소극적 민족운동은 당시 일본의 통

개화운동의 전개 1876년 개항 이후 조선 정부는 일본과 중국에 영선사와 신사유람단을 파견하여 군사·행정·과학기술 등의 선진문물과 기술을 습득케 하였다. 이 때 외국을 유람하면서 선진문명에 자극을 받은 일부 개화된 인사들은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질서를 부정하고 근대 국민국가를 건설하려는 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들 개화파 가운데 급진적인 근대화를 모색한 세력들은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고 온건개화파들에 의해 1894년 갑오개혁이 단행되었다. 개화세력들은 정치·사회·경제적 제도개혁을 시도하였고, 이와 함께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등 언론을 통해 개화사상을 퍼뜨리고 민중을 계몽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개화파의 근대국민국가 건설 노력은 봉건적인 모순들을 근본적으로 혁파하는 국민혁명으로는 이어지지 못하였고 결과적으로 외세의 침입을 저지하는데 실패하였지만 이후 독립협회의 근대국민국가 건설운동으로 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