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2층)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

한국근대사와 관련한 희귀자료들을 접할 수 있는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입니다. 이곳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새로이 인식했던 한국의 근대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래 도입된 서양과학기술서적과 문물, 실학자들의 각종 저서와 고지도에서 조선후기 사회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친필 글씨 등 독립운동자료는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느끼게 해줍니다. * 안중근의사 친필 글씨 Calligraphy by An Jung-geun

조선 후기 실학(實學)이 등장하고 서양문물, 곧 서학(西學)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조선사회는 동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시대적 변화에 상응하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불평등조약으로 대외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개화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근대적 개혁이 시도되고, 독립협회를 비롯한 여러 애국계몽단체들이 자주적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매진하였으나 일제의 무단침략으로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일제강점하에서 우리민족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강압에 굴하지 않고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끊임없이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제의 잔혹한 민족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민족 보전 및 국가 독립을 위한 노력은 결실을 맺어 마침내 해방을 맞이하였습니다.

근대화와 민족운동사실에는 이와같은 전통과 근대, 척사와 개화, 민족운동과 저항이라는 근대사의 갈등관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어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양의 천문지리 관련유물 등의 서학자료와 실학자료를 통해 근대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고, 타율적 개항에 의한 세계질서로의 편입과정에서 봉건과 반봉건 움직임,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식의 성장, 개화운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 이후 3 1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자료와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자료에서 굴절된 식민지 역사를 개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1910년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제는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헌병경찰제를 통한 ‘무단통치’를 감행하였다. 자주민족세력에 대한 탄압과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양민의 경제적 수탈이 극심한 상태에서 발생한 ‘3·1운동’은 일제의 식민정책을 ‘문화정치’로 전환케 하였으나 실제적인 탄압은 지속되었고 경제적 수탈 역시 산미증식계획 등으로 계속되었다. 1930년대 이후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물적 수탈과 강제적인 인적 동원이 자행되었으며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신사참배(神社參拜), 창씨개명(創氏改名) 등을 강요하였다. 삼일운동 이후 중국에 설립된 임시정부와 만주의 독립군를 중심으로 해외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국내에서도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의 항일시위운동과 소작쟁의, 노동쟁의 등의 경제투쟁, 그리고 국학운동 등의 문화운동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특히 임시정부는 항일독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면서 해외의 민족운동을 주도하였다. 국내에서는 민립대학설립운동과 같이 민족교육 보급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물산장려운동으로 민족기업을 보호, 육성하고자 하면서 민족운동의 역량을 키웠나갔다. 이러한 항일민족운동은 8·15해방의 밑거름이 되었다.

일제하 광주학생운동 1919년 3·1운동과 1926년 6·10만세운동 이후 항일민족의식은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에 일제의 탄압은 날로 강화되었다. 1929년 광주에서 여학생 희롱사건으로 촉발되었던 광주학생운동은 그간 누적된 반일감정의 폭발이었다. 이 사건은 전국적인 학생들의 항일투쟁으로 발전하여 일제 강점기 전개된 최대규모의 학생운동이 되었다. 전국 200여 학교에서 5만여 명이 참가하였으며, 구속된 학생수만도 1,700여 명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