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낙랑군(樂浪郡)은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4군 중의 하나로 기원후 313년 고구려에 의해 축출되기까지 오랫동안 존속하면서 주변세력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평양과 그 부근에는 이와 관련된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데 군현지배의 거점이 되었던 낙랑토성을 비롯하여 나무곽무덤[單葬木槨墓, 異穴合葬木槨墓]과 귀틀무덤[同穴合葬木槨墓], 그리고 벽돌무덤[塼築墓]이 무덤떼를 이루고 있다. 낙랑무덤은 기본적으로 방대형(方臺形)의 봉분을 지니며 대체로 중원문화의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다. 하지만 초기의 나무곽무덤단계에는 고조선 이래의 전통적인 세형동검문화 요소를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귀틀무덤단계에 들어와서야 중원문화의 강한 영향으로 독특한 낙랑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출토유물도 초기에는 재래의 화분형토기와 세형동검 등의 전통적 청동기나 특이한 수레부속의 형태 등에서 중원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다가 점차 청동용기, 철제무기, 칠기 등 중원계 유물의 부장이 늘어나게 된다. 기원후 2세기 이래의 벽돌무덤단계에는 새로이 횡혈식(橫穴式) 묘제가 도입되고 명기(明器)가 부장되며 합장(合葬)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부장품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되던 물품들은 극히 제한되고 대부분 특별히 제작된 소형의 명기가 부장되었다.

① 낙랑토기 낙랑토기는 낙랑군(樂浪郡)이 설치되었던 시기에 그 지역에서 출토된 모든 토기를 일컫는 말이다. 낙랑토기는 크게 화분형토기(花盆形土器)와 목항아리[壺]로 나눌 수 있다. 화분형토기는 곱돌[滑石]가루가 많이 섞여있는 점토를 빚어 틀에 포(布)를 대고 찍어낸 깊은바리모양토기[深鉢形土器]인데 낙랑군 설치 이전부터 만들어진 일종의 변질무문토기이다. 이른 시기의 것은 바닥이 축약된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으나 귀틀무덤 단계를 지나면서 밖으로 살짝 벌어진 낮은 굽이 나타나는 점이 특징이다. 목항아리는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붙여지고 있다. 보통 아가리가 완전히 벌어지고 목이 짧은 회색항아리를 말하며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성되어 약간 무른 편이다. 둥근바닥[圓底] 혹은 납작바닥[平底]의 짧은목항아리[短頸壺]가 많으며 이를 북한에서는 ‘배부른단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짧은목항아리들 가운데 태토에 모래알갱이[沙粒]가 많이 섞이고 전체적으로 몸통의 크기가 커져 구형(球形)에 가까워진 백색항아리를 따로 옹(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② 낙랑기와 막새기와나 전돌의 존재는 관청이나 궁궐과 같은 고급건축물의 축조를 암시하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한대(漢代) 이후 본격적으로 사용된다. 낙랑 수막새는 이러한 한대 수막새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만들어지는데 보통 막새 중앙을 중심으로 분할된 4개의 구역에 문자무늬[銘文]나 구름무늬[卷雲文]를 대칭되게 베풀어 놓은 수막새가 주종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