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기원전 10세기경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와 민무늬토기를 사용하고 농경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여 청동기시대로 접어든다. 농경은 더욱 발달하고 벼농사와 개 돼지 등의 가축사육도 행해져서 생산력이 크게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인구도 많이 증가한다. 인구의 증가는 각 지역별로 취락(聚落)의 형성과 확대를 더욱 촉진하였으며, 확대된 취락내에서는 서서히 지배자가 등장하게 된다. 취락은 대개 평야 혹은 하천과 가까운 야산이나 구릉에 위치하며 그 주위에 경계와 방어를 위한 도랑[環濠]을 파거나 나무울타리[木柵]를 세우기도 하였다. 집은 네모꼴이나 긴네모꼴의 움집[竪穴住居]이 많지만 남부지방에서는 특유의 둥근꼴 움집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무덤으로는 고인돌[支石墓] 돌널무덤[石棺墓] 독무덤[甕棺墓] 등이 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땅위에 판돌을 세워 주검칸을 만들고 그 위에 크고 편평한 덮개돌을 덮은 탁자식(卓子式), 땅밑에 판돌이나 깬돌로 주검칸을 만들고 굄돌위에 덮개돌을 놓은 바둑판식[碁盤式], 굄돌없이 덮개돌을 덮은 개석식(蓋石式)으로 구분된다. 돌널무덤은 땅속에 판석으로 주검칸을 만들고 널뚜껑을 판자나 판돌로 덮은 것이다. 이러한 무덤에는 붉은간토기·돌검·돌살촉·동검·장식옥 등이 껴묻혀 있다. 한편 금강유역 일대에서는 일상용토기를 널로 사용한 홑독널[單甕棺]이 발견되기도 한다.
민무늬토기 민무늬토기는 굵은 모래나 석영·장석 혹은 활석·운모가루 등을 섞은 진흙으로 빚어 한데가마[露天窯]에서 구운 납작바닥[平底]토기로 대개 갈색을 띠는 것이 보통이다. 바리[鉢]와 항아리[壺] 모양이 기본적인 형태이며 제작기법이나 형식적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된다. 요동지방 토기의 영향으로 북한지역에서 점진적인 이행과정을 거쳐 등장하며, 남한지역에서는 북한지역의 민무늬토기가 전해져 복합되면서 다양한 토기가 사용되었다. 남한지역의 민무늬토기문화는 보통 구멍무늬토기·붉은간토기·송국리형토기 등으로 대표되는 전기와 그것이 덧띠토기와 검은간토기로 대체되는 후기로 양분할 수 있다. 동북지역에서는 주로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골아가리무늬토기[ 脣刻目土器]·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紅陶] 등이 출토되고, 서북지역에서는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土器]·미송리형토기(美松里形土器)·공귀리형토기(孔貴里形土器)·팽이형토기[角形土器] 등이 중심 분포지역을 달리하며 출토된다. 남한지역에서는 북한지역의 토기나 그것들이 결합된 형식의 토기가 출토되며 금강유역에서 새로이 송국리형토기(松菊里形土器)가 출현하나 남부지방에서 한정되어 사용된다. 이후 요동지방에서 전해진 덧띠토기[粘土帶土器]와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黑陶]가 송국리형토기를 대신하게 되어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와 많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