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한국 기독교 역사실 (1층)

한국 기독교 역사실

한국 기독교 역사실

한국기독교역사실은 우리 박물관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전시실입니다. 통일신라시대 한반도에 유입된 경교 관련 유물을 통해 한국기독교 역사의 시원(始原)을 추적해볼 수 있으며, 천주교와 개신교의 주체적 수용과 발달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국기독교는 외국선교사가 공식 입국하기 이전에 한국인들 스스로 신앙공동체를 형성하였고 나아가 성경을 우리말로 번역 출판하여 읽었다는 특수한 역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 전시하고 있는 초기 기독교 유물은 한국기독교의 수용과 성장 및 발전과정을 알려주는 귀중한 역사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 기독교의 역사는 기독교의 일파인 경교(景敎 Nestorianism)로부터 시작합니다. 7세기 중국에 전래되어 크게 융성했던 경교가 당시 당(唐)과 활발히 교류했던 통일신라에도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 천주교는 18세기말 서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 머무르지 않고 천주교 신앙까지 수용하려는 학자들에 의해 성장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 천주교 신봉자들은 외국인 신부가 입국하기 전에 이미 조선천주 교회를 설립하여 자생적인 신앙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선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한불조약(1886년)으로 신앙의 자유를 얻기까지 약 100여년 동안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한국 개신교 역시 외국인 선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선교가 아니라 그들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자체적으로 신앙공동체를 건설하고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는 등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한국 기독교의 성장은 개화운동 및 민족운동과 결부되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이바지하였습니다. 한국기독교역사실에는 경주 불국사 안에서 발견된 돌십자가 등 경교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물들을 비롯하여 초기 천주교 교리서와 신앙서적, 박해 관련자료 등을 전시하여 천주교의 수용과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의 수용 및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초기 성경을 비롯하여 각종 찬송가와 외국선교사 관련유물, 일제하 한국교회와 신앙운동 관련유물을 전시하여 한국근대사에서 개신교의 발전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19세기말 외국인 선교사 및 기독교 선각자들의 노력으로 한국교회의 성장 발판이 마련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이 전개되고 교회조직이 정비되었으며, 1910년대에는 각 교파별로 전국적인 조직이 확립되어 갔다. 3 1운동 이후에는 일제의 식민통치가 강압적인 '무단통치'에서 유화적인 '문화정치' 로 바뀌면서 종교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기독교계에서 특징적인 것은 기독교 신문과 잡지의 발간과 교육사업이었다. 기독교 관련 서적의 발간은 서구 신학(神學)을 국내에 소개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주체적인 기독교문화 창출에 기여하였고, 비록 일본식 교육제도하에서 위축되긴 하였지만 기독교계 학교를 중심으로 꾸준히 교세를 확장하고 근대교육의 실현에 힘썼다. 이와 함께 문맹퇴치운동과 농사개량사업 등의 농촌운동, 금주·단연·아편금지 공창폐지운동 등의 사회운동은 기독교 신앙의 선교운동이자 문화운동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의 일환으로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등 일제의 한국교회 탄압은 노골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일제의 정책에 순응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많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은 일제의 식민정책과 충돌하면서 집단적 저항운동을 전개하여 많은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한국교회조직의 확립 1900년대에는 기독교의 순수한 신앙과 정신을 정착시켰던 기독교 대부흥운동으로 한국교회 조직이 정비되어갔다. 최대 교단이던 장로교는 1907년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최초의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1912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조직하였다. 한국장로회 최초의 조직교회인 새문안교회가 창립된 지 25년만의 일이었다. 미감리회는 1908년 정동교회에서 완전한 감리교 조직으로 한국연회(The Korea Annual Conference)를 창립하였으며 남감리회는 1914년 한국선교연회를 조직하였다. 이런 교회조직은 교회 지도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 설립으로 더욱 그 토대가 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