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메뉴

한국 기독교 역사실 (1층)

한국 기독교 역사실

한국 기독교 역사실

한국기독교역사실은 우리 박물관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전시실입니다. 통일신라시대 한반도에 유입된 경교 관련 유물을 통해 한국기독교 역사의 시원(始原)을 추적해볼 수 있으며, 천주교와 개신교의 주체적 수용과 발달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국기독교는 외국선교사가 공식 입국하기 이전에 한국인들 스스로 신앙공동체를 형성하였고 나아가 성경을 우리말로 번역 출판하여 읽었다는 특수한 역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 전시하고 있는 초기 기독교 유물은 한국기독교의 수용과 성장 및 발전과정을 알려주는 귀중한 역사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 기독교의 역사는 기독교의 일파인 경교(景敎 Nestorianism)로부터 시작합니다. 7세기 중국에 전래되어 크게 융성했던 경교가 당시 당(唐)과 활발히 교류했던 통일신라에도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 천주교는 18세기말 서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 머무르지 않고 천주교 신앙까지 수용하려는 학자들에 의해 성장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 천주교 신봉자들은 외국인 신부가 입국하기 전에 이미 조선천주 교회를 설립하여 자생적인 신앙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선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한불조약(1886년)으로 신앙의 자유를 얻기까지 약 100여년 동안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한국 개신교 역시 외국인 선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선교가 아니라 그들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자체적으로 신앙공동체를 건설하고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는 등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한국 기독교의 성장은 개화운동 및 민족운동과 결부되면서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이바지하였습니다. 한국기독교역사실에는 경주 불국사 안에서 발견된 돌십자가 등 경교 전래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물들을 비롯하여 초기 천주교 교리서와 신앙서적, 박해 관련자료 등을 전시하여 천주교의 수용과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의 수용 및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초기 성경을 비롯하여 각종 찬송가와 외국선교사 관련유물, 일제하 한국교회와 신앙운동 관련유물을 전시하여 한국근대사에서 개신교의 발전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시주제

한국에서 개신교는 1832년 입국한 독일 선교사 귀츨라프(K.F.A. Güzlaff)와 1866년 이땅에서 첫 순교자가 된 영국 선교사 토마스(R.J. Thomas)의 선교 시도에서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선교는 1884년 이후 입국한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초기 선교사들은 주로 교육과 의료사업을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벌였는데 특히 성경과 찬송가의 발행은 한국민들이 주체적으로 복음을 수용하고 기독교의 본질을 파악케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선교사들에 의해 간행된 교리서와 전도서는 개신교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한국 개신교의 수용과 성장은 한국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요구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미 선교사들이 입국하기전에 성서가 들어오고 교회가 설립되는 등 자생적인 신앙의 바탕이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만주지역에서 진취적인 서북청년들을 중심으로 한글성경이 간행되었고, 일본에서는 개화파 지식인에 의해 성서가 번역되어 국내에 들여와 외국 선교사가 입국하기 전에 이미 한국민들에게 읽혀지고 있었다.

전문도서 발간 초기 선교사들은 의료·교육을 통한 선교사업에 주력하면서 동시에 문서선교에 관심을 기울였다. 1890년에는 언더우드·헤론·올링거 등이 주축이 되어 장로교·감리교가 연합한 문서사업기관으로 ‘조선성교서회’(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ty)를 설립하여 체계적인 문서선교를 시작하였다. 조선성교서회는 기독교 서적과 전도지 및 정기간행물과 잡지류를 간행하여 전국에 보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설립된 이래 1890년 《성교촬리》를 시작으로 《훈아진언》(1891년), 《쟝원량우샹론》(1892년) 등 전도교리문서를 출판하였다. 선교사들의 성서번역을 비롯한 초기 문서선교 사업은 기독교와 일반 문화발전에 지대한 공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