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 역사실 (2층)
평양숭실역사
1897.10 | 평양 신양리 26번지에 학생 13명으로 숭실학당 출범.
초대 교장북장로교 선교사 베어드(W.M.Baird) |
---|---|
1989.9 | 60여 명 지원에 18명 학생 선발 |
1900.1 | 5년제 중학교 학제 확정 |
1900.3 | 학생전도대 조직 |
1901.10 | 평양부 신양리 39번지로 교사 신축 이전 |
1904.5 | 숭실중학 제1회 졸업생 3명 배출 |
1906.10 | 미국 장로교·감리교 합동으로 대학부 설치 교명은 평양숭실대학(Union Christian College) |
1907.1 | 첫 교가 제정 |
1908 | 대한제국 학부(學部)로부터 ‘숭실대학’ 인가 숭실대학 1회 졸업생 2명(변인서·김두화) 배출 |
1910 | 교가(모란봉이∼) 제정
105인사건으로 숭실출신 15명 실형언도 받음 |
---|---|
1912.3 | 숭실대학 교사(3층 벽돌 양옥) 기공 |
1912.11 | 사립학교 규칙에 의거 ‘숭실대학’ 재인가 |
1913.1 | 음악대·합창대 조직 |
1914.10 | 숭실대학 문학부 조직 |
1915.4 | 라이너(R.O.Reiner) 2대 교장 취임 |
1915.9 | 《숭실학보》창간 |
1917.3 | 숭실 출신이 중심이 되어 항일비밀결사 ‘조선국민회’ 조직 |
1918.4 | 마펫(S.A.Moffett) 박사, 3대 교장 취임 |
1919 | 《숭대시보》창간 |
1921.1 | 학생기독청년회 창립 |
1923.5 | 전조선축구대회 우승 |
---|---|
1925.3 | 일제의 교육정책에 의해 전문학교로 개편 |
1928.5 | 매퀸(G.S.McCune,) 박사, 4대 교장 취임 평양 신양리에 실습농장 개설 |
1930 | 학생잡지 《숭전교우》 창간 |
1931.3 | 3년제 농과 설치(정원 30명) |
1932.7 | 고등농사학원 부설 |
1936.1 | 일제, 신사참배에 반대한 매퀸의 교장직 박탈 |
1936.3 | 모우리(E.M.Mowry) 박사, 5대 교장 취임 |
1937.10 |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폐교원 제출 |
1938.3 | 일제에 의해 정식 폐교 |
서울숭실역사
1954.5 | 재건 숭실대학 개교(임시교사:영락교회, 초대학장:한경직) |
---|---|
1957.6 | 신축교사 이전(상도동) |
1960.4 | 4·19 혁명시 김창섭(사학과 4년) 순국 |
1967.10 | 웨스트민스터 채플(Westminster Chapel) 준공, 숭실대학교 부설 한국기독교박물관 개관 |
1969.9 | 대학 최초로 전자계산기 도입, 부설 전자계산연구소 설치 |
19710.3 | 대학 최초로 전자계산학과 신설 |
1971.1 | 대전대학과 통합하여 ‘숭전대학교’로 개명 |
1971.12 | 종합대학 승격 |
1972.1 | 대학원 설립 인가(1974년 박사과정 개설) |
1972.2 | 김형남 박사, 초대 총장 취임 |
1975.10 | 한국기독교박물관 신설 |
---|---|
1982.12 | 대전캠퍼스가 한남대학교로 분리 운영 |
1983.7 | 중앙도서관 준공 |
1983.10 | 국내 최초 중소기업대학원 설립 |
1987.3 | ‘숭실대학교’로 교명 환원 |
1988.3 | 정보과학대학원 설립 |
1991.10 | 본교 상징탑 백마상 건립 |
1992.3 | 사회교육원 설립 |
1996.3 | 국내 최초 정보과학대학 발족 |
1996.4 | 숭실대학교 헌장 제정 |
1996.11 | 국제통상대학원 설립 |
1997.10 |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 |
2005.7 | 형남공학관 준공 |
2012.6 | 한국사이버대학교 인수 |
2014~2015 |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최우수 A등급 |
전시주제
전문학교로의 개편 일제의 식민지교육 강요로 인하여 숭실대학은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1925년 전문학교(專門學校)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전문학교로 개편된 이후에도 대강당, 기숙사, 본관의 신축 및 증축을 통하여 교육시설을 완비하고, 농과를 설치하여 농촌지도자를 배출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최고 교육을 통해 숭실이 배출한 인재들은 기독교계, 교육계, 예술계, 학계 등 각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