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미술실
고고 미술실
고고 미술실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이후 우수한 민족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미술실. 암사동에서 출토된 대형빗살무늬토기, 섬세한 기하학문양이 뛰어난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의 제작과정을 알려주는 국보 제 231호 청동기 거푸집은 우리 박물관만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그 외 삼국시대 낙랑 관계 유물, 삼국시대 이후의 공예작품들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대형빗살무늬토기
Comb-pattern Pottery
* 국보 제141호 청동잔무늬거울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National Treasure No.141
* 국보 제231호 청동기 거푸집
Mould for Bronze Artifacts, National Treasure No.231
* 낙랑
Lolang
고고·미술실에는 매산(梅山) 김양선(金良善)의 수집유물과 1960년대부터 본 박물관이 수행한 여러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토기류, 석기류, 금속기류, 유리제품 등 600여점의 유물을 시대별·주제별로 구성, 전시하여 선사 및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암사동유적 출토 대형빗살무늬토기[大形櫛文土器]와 전(傳) 충남 논산출토 청동잔무늬거울[靑銅多 細文鏡, 국보 제141호], 그리고 전남 영암출토 청동기거푸집[靑銅器鎔范, 국보 제231호] 등이 있는데, 특히 청동잔무늬거울과 청동기거푸집은 한국 청동기의 정교함과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 박물관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옥(葬玉) 등을 비롯한 중원문화의 색채가 깊이 베어 있는 낙랑(樂浪) 유물 역시 타 박물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있는 유물입니다.
전시주제
신석기시대에는 처음으로 정착생활이 시작되고, 간석기[磨製石器]가 사용되며, 조리와 저장 수단인 토기가 새로이 제작되 었습니다. 한반도의 신석기문화는 토기의 변화양상에 따라 초기(기원전 8000~6000년경), 전기(기원전 6000~3500년경), 중기(기원전 3500~2000년경), 후기(기원전 2000~1000년경)의 4단계로 구분되며 보통 토기가 출현한 시기부터 금속기가 사용되기 이전까지 전개된 물질문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신석기시대의 주민들은 강안대지나 해안의 언덕 및 인근도서, 그리고 깊은 내륙지역의 작은 강가 등 대개 물과 식량자원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며 생활하였습니다. 유적으로는 움집자리[竪穴住居址]와 조개무지[貝塚] 등의 생활유적과 움무덤[土葬墓] 등의 매장유적이 있으며, 각 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를 비롯하여 낚시바늘 그물추, 갈돌·갈판, 불에 탄 도토리, 돌도끼·돌화살촉 등이 출토되고 있어 물고기잡이, 짐승사냥, 열매채집이 주요 생업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낫·괭이 등 농기구로 추정되는 석기와 조·피 등 탄화된 곡물도 출토되고 있어 일부 잡곡농경이 병행되고 있었음도 알 수 있습니다.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는 빗모양의 무늬새기개[施文具]로 토기 겉면을 눌러찍거나[押印] 그어새긴[沈線] 각종 기하학적 무늬를 베푼 토기입니다. 기본적으로 뾰족바닥[尖底]에 포탄형을 이루나 납작바닥[平底]의 토기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진흙에 운모·활석·석면·흑연·모래 등을 섞은 바탕흙으로 빚어 한데가마[露天窯]에서 구워 내어 흔히 적갈색을 띱니다. 빗살무늬토기가 한반도에 처음으로 출현한 것은 기원전 6000-5000년전으로 같은 형태에 비슷한 수법의 무늬가 베풀어져 있는 토기가 시베리아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어 이로부터 일정한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반도의 빗살무늬토기문화는 그릇의 모양과 새겨진 무늬를 기준으로 동북지역, 서북지역, 중·서부지역, 남부지역의 네 권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중·서부지역의 빗살무늬토기는 반란형(半卵形) 혹은 포탄형의 몸통에 뾰족한 바닥을 이루고 있어 다른 지역의 토기들과 구별됩니다. 처음에는 아가리·몸통·바닥의 세 부위에 서로 다른 무늬가 새겨지다가 점차 ‘바닥→몸통→아가리’ 순서로 무늬가 없어지면서 민무늬토기로 바뀝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서울 암사동유적, 인천 삼목도유적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