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환두. 환두부가 하단이 처진 타원형 혹은 삼각형에 가깝다. 환내 장식으로 용두를 사용하였는데 혀와 목털장식이 보이지 않는다. 환상주식으로는 용문을 양각하였다. 경부와 환두부를 각각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경부에는 리벳을 결구하기 위한 환두경공이 1개 확인된다. 이와 같은 양식의 환두는 한국에서 찾을 수 없으며 일본에서 그 예가 다수 확인된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중인 菊隠컬렉션 유물과 같은 매우 유사하다.
8
고리자루
시대 삼국시대
환두. 환두부와 경부가 잔존하는데 경부 외부에는 목질이 잔존한다. 환두부는 3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1
고리자루
시대 삼국시대
환두. 환두부와 짧은 경부가 잔존한다. 리벳 구멍은 보이지 않는다. 환두부는 3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고리자루
시대 삼국시대
환두. 환두부와 경부, 병두금구가 잔존한다. 경부에는 목질흔이 잔존한다. 환두부는 3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3
고리자루
시대 삼국시대
환두. 환두부와 경부, 병두금구가 잔존한다. 경부에는 목질흔이 잔존한다. 환두부는 3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고리자루
시대 삼국시대
환두. 환두부와 경부, 병두금구가 잔존하며 초미금구 일부가 남아 있다. 환두부는 3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