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뉴세문경. 주연의 단면이 낮은 반원형이고 내구의 상면에 두 개의 뉴가 부착된 다뉴세문경으로 다수의 파편으로 부서진 것을 복원한 것이다. 뉴의 상단 외연을 따라 주조 과정에서 생긴 돌기가 연마 조정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 있다.
50
청동잔무늬거울
시대 초기철기시대
다뉴세문경. 주연의 단면이 낮은 반원형이고 내구의 상위에 두 개의 뉴가 부착된 다뉴세문경으로 다수의 파편으로 부서진 것을 복원한 것이다. 뉴의 상단 외연을 따라 거푸집에 설계된 돌기가 그대로 남아 있다.
42
청동잔무늬거울
시대 초기철기시대
다뉴세문경. 내구 상단에 두 개의 뉴가 나란히 배치된 다뉴세문경으로 주연의 형태는 단면 반원형이다.완형경이며 문양면과 경면에 비교적 균일한 청동녹이 입혀진 상태이다.
36
청동잔무늬거울
시대 초기철기시대
다뉴세문경. 주연은 단면 반원형이고 뉴의 단면은 높은 반원형이며 뉴공은 터널형이다. 뉴의 좌우 외연을 따라 돌기선이 확인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경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나 주연부에 이르러 약간 들린 기미여서 전체적으로 볼록경이라 할 수 있다. 8쪽으로 파쇄된 거울을 복원한 것인데, 뉴의 우측에는 수지로 메워서 복원한 부분이 관찰된다.
49
청동잔무늬거울
시대 초기철기시대
다뉴세문경. 국보 141호. 한면을 거울로 비춰볼 수 있도록 하고, 반대면에 끈을 꿸 수 있는 꼭지를 두 개 붙임. 볼록 도드라진 테를 주변에 돌리고 문양을 새김. 儀式用으로 주로 사용. (지정일자 : 1971년 12월 21일)
297
청동종
시대 고려시대
동종. 上帶와 下帶 모두 당초문으로 장식하고, 상대에 연결된 네 개의 乳廓과 두 개의 연화문 撞座와 두 개의 天人像이 鐘身에 조각되어 있다.
28
금입사풀꽃무늬철검
시대 고려시대
금입사초문철검. 검신 중하단에 화초문을 금상감하였다.
23
쌍봉무늬거울
시대 고려시대
쌍봉문경. 유좌(꼭지)는 단면 반원인데 한쪽이 조금 깨져 있다. 거울 전면에 봉황과 당초문을 간결하게 시문하였다.
3
쌍룡무늬거울
시대 고려시대
쌍룡문경. 주연은 6릉의 내행화문이며, 유좌는 단면 반원이다. 거울 전면에 용 두 마리를 사실적으로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