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동착거푸집. 국보 제 231호. 쌍합범이며 두 짝이 모두 남아있다. 전면에는 합인부 주형이 새겨져 있고 후면에는 유견부와 동착 주형이 새겨져 있다. 전 영암 거푸집 일괄로 2009년 10월 28일 일괄 명칭 변경됨.
17
동부조침거푸집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부조침거푸집. 국보 제 231호. 쌍합범이며 전면에만 주형이 새겨져 있는데, 장방형부 주형과 함께 좌측에 동침 주형, 우측에 조침 주형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장방형부 주형은 쌍합범이지만 동침과 조침 주형은 단합범이다. 후면은 반듯하게 가공되었을 뿐 다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주형들은 모두 표면이 검게 탄착되어 있다. 전 영암 거푸집 일괄로 2009년 10월 28일 일괄 명칭 변경됨.
18
동부거푸집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부거푸집. 국보 제 231호. 쌍합범이며 전면에만 장방형부 주형이 새겨져 있다. 주형이 새겨진 전면은 다른 면보다 잘 다듬어졌다. 주형들은 모두 표면이 검게 탄착되어 있다. 후면은 반듯하게 가공되었을 뿐 다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전 영암 거푸집 일괄로 2009년 10월 28일 일괄 명칭 변경됨.
14
세형동검동모거푸집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모세형동검거푸집. 국보 제 231호. 쌍합범이지만 한 짝만 남아있다. 전면과 후면을 다듬은 다음 각각 동모와 세형동검 주형을 새겼다. 동모 주형이 새겨진 면이 전체적으로 잘 다듬어져 있는것으로 보아 동모 주형이 전면, 세형동검 주형이 후면으로 생각된다. 두 주형 모두 표면이 검게 탄착되어 있어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1986년 3월 14일 국보 제231호로 지정되었다. 전 영암 거푸집 일괄로 2009년 10월 28일 일괄 명칭 변경됨.
30
세형동검동사거푸집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동사거푸집. 쌍합범이지만 한 짝의 일부 파편만 남아있다. 전면에는 세형동검 주형이, 후면에는 동사와 동침 주형이 새겨져 있다. 세형동검 주형이 검신부에서 마무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파손된 세형동검 거푸집을 재가공하여 후면에 동사와 동침 주형을 새긴 것으로 생각된다. 주형들은 모두 표면이 검게 탄착되어 있다. 거푸집의 하면은 완전히 파손되었기 때문에 상태를 알 수 없다.
9
동부조침거푸집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부조침거푸집. 국보 제 231호. 쌍합범이며 전면에는 유견부 주형이 새겨져 있고, 후면에는 조침 주형 3개가 새겨져 있다. 거푸집은 깨진 것을 복원한 것으로 주형이 새겨진 전면과 후면은 다른 면보다 잘 다듬어졌다.
지정일자:1986년 3월 14일.
전 영암 거푸집 일괄로 2009년 10월 28일 일괄 명칭 변경됨.
27
청동용기
시대 미상
청동용기. 원통형이며, 측면 상부에 ‘ㄷ’자형 손잡이가 달려있다. 얇게 주조되어 일부 결락된 부분이 있다. 도량형과 관련된 용기일 가능성이 있다.
5
국자
시대 원삼국시대
국자. 청동제로 액체가 잘 담길 수 있도록 바탕이 움푹 패여 있고, S자로 굽은 손잡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와 바탕은 동시에 주조되어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의 끝부분은 짐승의 얼굴 형태를 띠고 있다. 일부 결실된 부분이 있다.
7
동복
시대 원삼국시대
동복. 청동제로 동부에는 합범의 흔적이 종방향으로 직선상 명료하게 나 있다. 평저이며, 바닥에 별도의 대각이 붙어 있지는 않다. 구연상에는 반환형의 고리가 대칭으로 붙어 있으며, 상단부의 일부는 결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