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형동검. 척능선이 경부의 상단에 이르는 세형동검이다. 등대의 외연선은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되다가 봉부하단에 이른다. 검신의 상위 1/2 지점에서 부러져 두 동강난 것을 복원하였으나 나머지 부분은 잔존상태가 양호하다.
4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장봉의 세형동검이다. 등대는 검신 하단부에서 약간 두꺼워졌다가 봉부로 가면서 미세하게 축약되는데, 전체적으로 직선적이라 할 수 있다. 검신은 부러져서 이등분된 것이며 날개 외연의 인부도 박락된 곳이 많다.
5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단봉의 세형동검이다. 등대는 검신 하단부에서 약간 두꺼워졌다가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좁아지며, 그 외연은 봉부에 이르러 인부와 연결된다. 등대에는 절대가 분명하지 않고 양 날개에 결입부의 형성도 미미하다. 봉부가 아주 짧은 것이 특징이다.
3
검자루맞추개
시대 초기철기시대
검파두식. 십자형 검파두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재질은 석제이다. 중심 대좌와 직교하는 돌기가 있지만 그 경계는 뚜렷하지 않으며 외연은 모두 말각 형태이다. 상부는 편평하며 바닥은 장축방향으로 약간 들린 것이다. 전 경주출토품 중에서 형태상 비슷한 것이 있다.
3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단봉의 세형동검이다. 등대는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좁아지는데 그 외연이 봉부에 이르러 인부와 연결된다. 등대에는 절대가 형성되었고 양 날개에는 결입부가 만들어졌다. 양 날개의 두께는 하단부에서 봉부쪽까지 두께 변화가 없으며 좌우의 횡단면도 수평이다.
3
검자루맞추개
시대 초기철기시대
검파두식. 십자형의 석제 검파두식이다. 대좌는 흔히 평형으로 분류하는 것이지만 중간 부분이 약간 부풀어 오른 형태이다. 중심 대좌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기둥은 원래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경주출토품 중에서 비슷한 것이 있으며 대구 신서동 6호에서도 같은 형식에 속하는 검파두식이 출토되었다.
3
검자루맞추개
시대 초기철기시대
검파두식. 석제 검파두식이다. 바닥에 평탄면이 없는 것으로 정면에서 보면 윗부분은 밋밋하지만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룬다. 양 측면도 둥글게 처리되었다. 비파형동검 단계의 검파두식일 가능성이 높다.
1
검자루맞추개
시대 초기철기시대
검파두식. 입주십자형 검파두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인데 재질은 석재이다. 청동제 입주십자형 검파두식의 조형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이 자료에서 확인되는 형태적인 속성은 청동제 검파두식의 형식변화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
청동검자루맞추개
시대 초기철기시대
검파두식. 청동제의 두립문 검파두식이다. 중심축의 평면은 말각된 긴 직사각형으로 그 중심에 직교하는 작은 돌출부가 있다. 중심축의 상면에는 조의 음각 권선이 한 쪽에 3개씩 시문되어 있고, 구축된 공간에는 머리에 작은 평탄면을 갖는 돌기를 각각 3개씩 총 18개가 세워져 있다. 중심축의 양단은 경사지게 들려있고 그 단부에는 3조의 음각선을 새겼다.
경산 임당A-Ⅰ-96호, 성주 예산리 6호에서 같은 형식 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