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모. 공부와 신부로 구성된 중국식 동모이다. 공부의 하단면은 수평을 이루는 직기형이며 신부로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된다. 신부 하단의 관부는 둥글게 확대되어 봉부를 향해 외연이 직선적으로 축약되는 형태이다. 봉부의 선단부는 결실되었다. 동모의 양쪽에는 날이 서 있지 않으며 전면에 녹이 형성되어 있다. 동모의 원 소유자가 녹을 벗기기 위해 부분적으로 연마한 부분도 관찰된다. 공부는 주조불량으로 갈라진 부분이 있으며 청동녹이 피막을 이루는 부분도 있다. 공부의 하단부에는 주조 후에 천공할 것으로 보이는 구멍이 있는데 상하로 갈라져 있다.
3
청동투겁창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모. 병부와 신부, 그리고 봉부로 구성되는 유공 동모이다. 등대의 평면은 공부에서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되는 형태이다. 동모 전체에 청동 녹이 형성되었지만 공부와 인부 외연은 물론 봉부도 녹화현상과 박락이 현저하다. 유사한 형태의 동모로는 사천 마도동 출토품이 있다.
2
청동투겁창
시대 미상
동모. 공부와 신부로 구성된 중국식 동모이다. 단면이 마름모꼴인 신부는 관부 돌출이 없으며 외연이 거의 직선적으로 봉부를 향해 전개된다. 공부의 하단면은 들린 형태, 즉 제비꼬리형이며 신부에 가까운 곳에 상하로 구멍이 뚫려 있다. 공부의 단면은 타원형이지만 거의 원형에 가깝다. 신부의 중간 등날부분에는 녹화현상으로 박리된 부분이 관찰되며 인부에도 녹화로 훼손된 부분이 현저하다. 공부의 좌우는 연마로 정리하였지만 합범흔이 남아있으며 조조불량에 의한 구멍이 있다. 토제 내범을 이용한 상하 분할형 거푸집을 이용한 주조였음을 알 수 있는 제품이다.
2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등대의 마연이 제 2절대에까지 이르는 단봉의 세형동검이다. 양 날개의 기부는 좁은 편이지만 상위로 가면서 넓어져 제 2절대가 위치한 곳에서 최대폭을 이룬다.전체적으로 완형에 가깝지만 결입부와 봉부에 미세한 인부 결락이 있다. 청동 녹이 발생한 곳도 다수 있지만 백동질의 동검 자체는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9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등대의 마연이 제 2절대에까지 이르는 단봉의 세형동검이다. 양 날개의 기부는 좁은 편인데 서서히 넓어져서 결입부 하단부에서 최대폭을 이룬다. 양 날개와 마연되지 않은 부위의 등대에는 주조 피부가 드러나는데 전체적으로 고운 면을 유지한다.
5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등대의 마연이 제 2절대에까지 이르는 단봉의 세형동검이다. 양 날개의 기부는 경부와 거의 직각을 이룬다. 검신의 상위 1/3 지점에서 부러져 두 동강이 난 것이고, 인부의 외연도 전체적으로 부식에 의한 결락이 발생해 원래의 선을 잃고 있다.
7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단봉의 세형동검으로 결입부 아래로는 등대 마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부의 주조 피부는 대체로 고운 편이고 양 날개와 마연이 이루어지지 않은 등대의 피부도 곱다. 양 날개 인부 외연은 약간의 결락이 인정된다. 거푸집의 상하 일치도가 뛰어나 비틀어진 부분을 찾을 수 없다.
6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단봉의 세형동검으로 마연에 의한 척능선이 제 2절대를 지나 기부에까지 이른다. 등대의 외연선은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서서히 축약되다가 봉부 하단에 이르러 인부와 연결된다. 기부는 파손되었으며 검신 상하면에 녹화현상이 심하다. 경부의 주조 피부는 거칠지만 양 날개와 등대 등의 주조 피부는 매끈한 편이다.
9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척능선이 경부의 상단까지 이르는 세형동검이다. 등대의 외연선은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되다가 봉부하단에 이른다. 경부의 단면은 타원형이지만 원형에 가깝고 등대의 단면은 팔각형, 봉부는 마름모 형태이다. 거푸집의 상하 일치도가 뛰어나 비틀어진 부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