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룡문경. 경면의 측면으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직선적이지만 주연부가 미세하게 들려 있다. 뉴의 형태는 단면반원형이다. 뉴의 측면에는 좌우로 잘 연마한 흔적이 확인된다. 뉴공은 양쪽 뉴공 중 비교적 큰 뉴공 상단에 사용에 의한 강한 마멸흔이 확인된다. 뉴좌는 바퀴살문이고 그 외측에 넓은 권대가 둘러져있다. 문양대는 주문양대를 중심으로 내측과 외측에 즐치문을 배치하였다. 문양대를 나누는 두 개의 양각 구획선은 새겨진 모양으로 보아 V자형의 도구로 선을 새긴 것으로 생각된다. 주문양대의 문양 구성은 4개의 소유를 사방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4마리의 훼룡과 小鳥를 채워 넣었다. 문양대 양측에 배치된 즐치문은 비교적 등간격과 깊이로 새겼다. 주연부는 평연이고 문양대와는 큰 단차를 두었다. 문양면의 양각부분은 잘 마연하였고 주연부 측면 또한 잘 마연하였다. 훼룡문경은 문양대의 문양새김이 타종류의 漢鏡보다 깊고 선명한 점이 특징적이다.
6
방격규구조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방격규구조문경. 주연부는 2중으로 단이 진다. 뉴의 형태는 반타원형이다. 뉴공 윗부분이 타격된 흔적이 확인되며 양쪽의 뉴공 모두 마멸이 거의 되지 않았다. 뉴좌의 형태는 원형으로 뉴좌의 외측에는 방격을 배치했다. 방격 각 변의 중앙에서 외방으로 T자형이 배치됬다. 뉴좌와 방격 사이의 음각부분에는 방격을 구획할 때 그어놓은 구획선이 확인된다. 방격과 T자형은 U자형의 끌로 연마하였다. 주문양대에는 T자형 사이에 4개의 원형뉴좌를 가진 소유들이 배치됬다. 소유와 T자문 사이에 총 8마리의 小鳥가 표현되있다. 일부분은 주조불량으로 인해 문양이 불분명하다. 뭉게진 T자형은 U자형의 끌로 연마를 시도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문양대 외측에는 즐치문대를 두어 주연부와 구분하였다. 즐치문 일부분에는 주조불량이 확인된다. 주연부는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의 원권선을 돌려서 안쪽에 거치문을 새기고 바깥쪽은 무문의 음각으로 새겨 가장 외측과 단차를 두었다.
9
금박투조경
시대 원삼국시대
금박투조경. 완형경이나 문양면의 보존상태가 불량하다. 경면의 단면은 비교적 직선적인 형태이고 뉴는 반구형으로 뉴공은 한 쪽(우뉴)에서만 관찰된다. 금박이 입혀진 문양면은 부식으로 인해 금박이 뜨고 일그러져 문양을 알아보기 힘든 부분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청동녹이 부착된 부분도 있다. 문양에는 누금기법과 감옥기법이 나타나며 감옥된 석제는 남아있는 구슬로 보아 터키석으로 추정된다. 누금된 금구슬은 크게 내부문양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1mm 이하의 미세한 것과 주연부로 추정되는 곳에 사용된 1mm 정도의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4
방격규구수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방격규구경. 완형경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뉴의 형태는 반원형으로 사엽형의 뉴좌를 가진다. 둥글게 표현된 사엽의 사이에 3조의 선을 새겨 넣고 다시 그 사이에 작은 연주를 새겨 넣었다. 주문양대는 방격을 중심으로 T자 문양을 새겨 넣고 방격의 네 모서리의 외측에 원좌의 유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여덟 마리의 신수를 새겨 넣었다. 문양대의 외측에 즐치문대와 거치문대를 배치하였다. 주연부는 신수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이는 운문이 새겨져 있다.
4
방격규구조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방격규구경. 두 조각으로 깨어진 것을 복원한 것으로 보존 상태가 비교적 나쁘다. 뉴의 형태는 반원형이고 뉴좌는 사엽형이다. 사엽문 일부는 뭉게져있다. 그 외측에 방격을 둘렀는데 그 내측에는 선문과 열선문이 배치되었다. 주문양 대에는 방격을 중심으로 T, L, V문양을 새겨 넣고 그 사이 네 방향에 각 두 개씩의 원좌유를 배치하고 여덟 마리의 새를 새겨 넣었다. 그 외측에는 문양대와 즐치문대를 새겨 넣어 외구와 구분하였는데 즐치문의 일부에서 주조불량의 흔적이 발견된다. 외구는 2조의 거치문과 그 사이에 무문을 배치하였다. 내측 거치문중 하나가 새겨지지 않은 것이 확인된다.
3
방격규구수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방격규구수문경. 완형경으로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뉴의 형태는 반구형이고 뉴좌는 평면 원형이다. 뉴좌의 외측에 12지문을 가진 방격이 둘러져 있는데 뉴좌와 맞물리는 내측 방격의 일부에서 재보수의 흔적이 발견된다. 방격내에는 12개의 원좌유 사이에 12지문을 새겨 넣었다. 주문양 대에는 방격을 중심으로 T, L, V문양을 새겨 넣고 그 사이 네 방향에 각 두 개씩의 원좌유를 배치하고 신수문을 새겨 넣었다. 그 외측에는 즐치문대를 두었는데 일부 주조불량 흔적이 발견된다. 외구에는 산이 낮은 거치문과 유운문을 배치하였다. 주연부 일부는 녹화현상에 의해 결락되었다.
3
성운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성운문경. 뉴의 형태는 연봉형(連峰型)이고 뉴좌(紐座)는 평면 원형이다. 뉴좌와 내구 사이에 즐치문을 새겨 넣었는데 부분적으로 주조상태가 나쁜 부분이 있다. 문양대에는 4개의 유(乳)를 사방에 배치하고 그 사이 사이에 7개의 작은 유(乳)를 나란히 배열하였는데 전체적으로 곡선을 그리며 연결된다. 문양대 외측을 2조의 원권(圓圈)으로 구획하였으며 일부에는 주조 후에 깎아서 보수한 흔적이 관찰된다. 주연부에는 16개의 연호문을 배치했는데 여기에도 주조상태가 나쁜 부분이 있다. 두 조각으로 깨어진 것을 복원한 것으로 문양면 일부에 청동녹이 입혀졌다. 잔존상태는 좋지 않다.
2
방격규구수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방격규구수문경. 완형경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경면은 전체적으로 볼록하고 주연부에 이르러 더욱 들려있다. 뉴의 형태는 반원형이고 뉴좌는 사엽문이다. 사엽문은 편복형이고 子葉을 가진다. 뉴좌의 외측에는 방격을 배치했다. 방격 각 변의 중앙에서 외방으로 T자형이 뻗어서 반대방향의 L자형과 마주 보고 있다. 거기에서 방격의 사각과 V자형이 마주 하여 내구는 8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다. T, L, 자형 사이에 원좌유를 배치하고 현무, 청룡, 선인, 새, 주작, 서수, 백호를 새겨 넣었다. 내구 외측에는 명문대를 배치하였고 외구에는 2조의 거치문과 그 사이에 복선파문을 배치하였다.
1
기봉문경
시대 원삼국시대
기봉문경. 뉴좌는 사엽형으로 내부에 명문을 배치하였다. 네 개의 구획 내에는 수려하고 도안화된 기봉을 배치했다. 두 마리의 기봉은 서로부리를 맞대고 있다. 주문양 의 외측에는 비교적 크게 내행하는 連弧文緣이 있다. 주연부와 문양부 모두 잘 마연되었으나 문양부 마연흔적이 잘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두 부분의 마연도구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뉴공에는 사용에 의한 마멸흔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