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형동검. 장봉의 세형동검으로 마연에 의한 척능선이 제 2절대까지 이른다. 양 날개의 외연은 박락이 심하여 원래의 형태를 추정하기 힘들 정도이다. 다만 결입부의 아래가 전체적으로 넓은 느낌이다. 거푸집의 상하 일치도가 뛰어나 비틀어진 부분을 찾을 수 없다.
5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봉부가 결실된 세형동검으로 마연에 의해 형성된 척능선이 기부에 이른다. 등대의 외연선은 봉부를 향해 비교적 직선적으로 축약된다. 동검은 상하가 어긋나있다.
2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단봉의 세형동검으로 척능선이 제 2절대까지만 형성된 형태이다. 등대의 외연선은 봉부를 향해 서서히 축약되다가 봉부에 이른다. 짧게 형성된 봉부는 지금도 날카로움을 유지한다. 동검은 상하가 어긋나있다.
4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봉부가 형성되지 않은 세형동검이다. 등대는 검신 하반부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서서히 축약되면서 봉부 선단부까지 이른다. 좌우 날개의 외연은 미미하지만 곡선적으로 축약되면서 봉부에 이른다. 주조 피부는 전반적으로 거친 편이며 표면에는 부식으로 기포가 생긴 곳이 많다.
4
세형동검
시대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 봉부에 마연으로 날을 세우지 않은 세형동검이다. 등대는 검신 하반부에서 봉부로 가면서 서서히 축약된다. 검신 곳곳에는 거푸집 결함으로 인한 함몰흔과 혹이 있으며 주조 피부는 전반적으로 거칠다.
2
청동꺽창
시대 청동기시대
청동꺽창. 혈구분리형 동과로 봉부가 결실되었다. 등대는 미세하게 축약되지만 비교적 직선적으로 봉부를 향한다. 좌우로 돌출된 란부에서 과신 인부로의 연결은 단을 만들지 않고 완만하게 처리되었다. 등대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동일한 형식의 일반적인 동과와는 달리 등대에 척능선이 형성되지 않았다. 동질과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지만 봉부가 결실된 것이다.
23
쌍귀항아리
시대 초기철기시대
쌍귀항아리. 입술부분이 바깥쪽으로 완전히 외반되었고 어깨가 있으며 어깨 위 양쪽으로 두 개의 파수가 있다.
5
복수쌍전문거울
시대 고려시대
복수쌍전문거울. 내구에 동서남북 4곳에 ‘福壽雙全’이란 명문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인물문, 화초문 등을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