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유경식석촉으로 신부와 봉부를 함께 마연한 후 봉부 끝부분만 직각방향으로 마연하여 만들었다. 봉부끝은 뾰족하게 만들었다. 인부 중앙이 부분적으로 결실되었다. 10
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2단경식석촉으로 신부에 비해 1단경부가 매우 세장한 형태이다. 1단경부와 신부를 함께 마연하였으며 2단경부는 뾰족하게 마무리하였다. 기부는 직각에 가깝다. 9
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2단경식석촉으로 신부에 비하여 경부가 비교적 세장한 형태이다. 신부에서부터 1단경부까지 같은 방향으로 마연하였으나 2단경부는 여러 방향으로 마연하여 차이를 보인다. 기부는 예각을 띠고 있으며, 능각은 비교적 뚜렷하게 남아 있다. 6
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유경식석촉으로 세장한 신부에 비하여 경부가 짧다. 또한 신부와 경부를 함께 마연한 후 경부만 재차 마연하여 평면형태가 상이하다. 기부는 직각으로 만들었다. 7
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유경식석촉으로 신부가 매우 세장한 형태이다. 기부는 직각에 가깝고 능각은 뚜렷한데 경부까지 함께 마연하였다. 경부 끝도 선단부와 같이 뾰족하게 마연하였다. 5
간돌화살촉 시대 청동기시대 석촉. 유경식석촉으로 신부가 매우 세장한 형태이다. 기부는 직각에 가깝고 능각은 뚜렷한데 경부까지 함께 마연하였다. 경부 끝도 선단부와 같이 뾰족하게 마연하였다. 5
간돌검 시대 청동기시대 석검. 유절병식(2단병식) 석검이다. 1단병부와 2단병부 사이 요부의 간격이 비교적 넓지만 좁은 편이며 1단병부에 2개, 2단병부에 4개의 발화구가 있는 점에서 장식성이 강조된 형태이다. 신부 끝은 결실되었으며 2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5
간돌검 시대 청동기시대 석검. 유절병식(2단병식) 석검이다. 1단병부와 2단병부 사이 요부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편이며 매우 좁아서 장식성이 강조된 형태이다. 신부 능각은 뚜렷한 편이며 2단병부 한 쪽 끝이 결실되었다.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