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 평면형태가 타원형이고 측면에서 보아 바닥 외연은 평탄면을 이루는 청동제 동포이다. 상면은 먼저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조와 3조의 요선을 이용하여 4분할하였고, 그 공간에 장축과 평행하는 방향의 요선을 빽빽하게 배치했다. 들린 바닥의 외연부에는 걸쇠가 부착되어 있었던 흔적이 확인된다. 원래 ⅠB0768 동포와 마찬가지로 2개의 걸쇠가 부착된 동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면은 부식이 심하다.
3
청동단추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포. 평면형태가 원형인 청동제 동포이다. 측면에서 보면 상면이 원을 그리면서 볼록하지만 바닥 외연은 평탄면을 이룬다. 상면에는 그 중심에서 4개의 ‘L’자형의 꺽쇠 문양이 등을 마주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4구로 구획된다. ‘L’자 형 문양은 동포의 외연에 이르러 궐수(蕨手)처럼 꺾여서 말리는 형태이다. 각 구의 공간에는 크기가 작은 ‘L’자 형의 문양 등을 채웠는데 모든 구획의 문양이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들린 바닥면에는 바닥을 가로지르는 걸쇠 1개가 부착되어 있다. 걸쇠는 주조 과정에서 기획된 것으로 주조 후 부착이 아니다.
밀납 원형에 문양을 시문하고 밀납으로 만든 걸쇠를 걸쳐놓고 점토를 발라서 거푸집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다음 탕구를 만들어 거푸집에 열을 가해 밀납을 녹여낸 다음 용동을 부어 넣어 주조를 마무리 하였을 것이다.
6
동검
시대 미상
동검. 신부와 병부로 구성되는 중국식동검이다. 신부는 단면이 마름모꼴이고 검신 상위가 약간 축약되는 형태이다. 봉부는 비교적 둥글게 마무리되어 이 검이 기본적으로 좌우에 형성된 날을 이용하여 베는 것이 주기능임을 알 수 있다. 검신의 하단부에는 손을 보호하기 위한 두꺼운 관부가 형성되었다. 병부의 단면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중간에는 2개의 환이 돌출된 전형적인 중국식동검이다. 병부의 좌우에는 거푸집 분할선이 관찰되고 그 한쪽 중간에 탕도를 제거한 흔적이 남았다. 이러한 동검이 상하분할식의 거푸집을 이용한 주조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병부로의 주탕이 수부를 통하지 않고 우회하여 병부로 탕도가 연결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주식 동검이다.
3
동검
시대 미상
동검. 신부와 병부로 구성되는 중국식동검이다. 신부는 단면이 마름모꼴이고 검신 상위가 약간 축약되어 봉부에 이르는데 이는 2차 연마에 의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관부의 하단면은 좌우 직선적이며 단면은 마름모꼴이다. 병부는 단면이 원형으로 속이 비어있는 형태이며 하단면이 수평을 이룬다. 병부의 측면에 파손된 홈이 있는데 이는 주조시의 탕도를 제거하면서 발생한 결함이 분명하다. 일주식으로 주조된 이러한 동검은 병부에 2개의 환이 부착된 동검과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중국식동검이라 할 수 있다.
1
동검수부
시대 미상
원반형태의 중국식 동검 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파손품으로 인정된다. 상면은 원래 자루가 붙어있던 중앙부가 파손되어 떨어져나가 구멍을 이루는데 이 구멍의 좌우로 주조 분할선이 관찰된다. 파손면은 파면을 유지하며 2차적으로 연마된 흔적은 없다. 수부의 아래면은 주조분할선이 없으며 약간의 청동찌끼가 부착되었을 뿐이다. 이러한 잔존형태는 중국식 동검의 주조방식을 고려할 때 잘 부합된다. 즉 병부의 중앙에 탕도가 연결되기 때문에 수부의 아래에서는 주조흔이 남지 않는다.
1
동검부속구
시대 미상
동검부속구. 마름모꼴의 청동제 동검부속구인데 검신하단부인 관부에 해당하는 것이다. 위에서 보아 형태가 마름모꼴인데 중앙에 검신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다. 구멍의 주변으로 반원형의 거칠게 연마된 부분이 관찰되는데 이것이 탕구와 가스배출구로 추정된다.
1
환두소도
시대 미상
환두소도. 청동으로 주조된 소도인데 수부와 병부 그리고 신부로 구성된다. 수부에는 타원형의 환이 달려있는데 마치 병부에 끼워진 것처럼 주조된 것이다. 신부는 병부와 만나는 지점까지 날이 서 있다. 소도의 등은 병부와 신부의 구분이 없이 단면이 곡선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청동소도는 중국 전한대 분묘에서 부장된 사례가 확인된다.
2
청동투겁창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모. 병부와 신부, 그리고 봉부로 구성된 유공동모이다. 병부는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되며, 그 좌우측에는 날개가 달렸다. 날개의 하단부에는 둔각으로 돌출된 관부가 형성되어 있다. 동질이 매우 양호하며 녹화현상도 관찰되지 않는다. 양 날개의 인부가 부분적으로 파손된 것을 제외하면 보존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다.
4
청동투겁창
시대 초기철기시대
동모. 봉부와 신부, 그리고 병부로 구성되는 유이동모로 거의 완형이다. 병부는 하단부에 문양이 없는 절대가 형성되었으며 봉부를 향해 직선적으로 축약된다. 전체적으로 청동 녹이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양 날개의 인부와 공부에서는 파손면도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