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 물질문화 편년(제11회 매산기념강좌) [목차] 주제발표 1. 취사용기를 통해 본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편년 / 김장석(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2. 백제 국가형성 단계의 연대검토 / 김일규(서울문화유산연구원) 3. 백제 漢城期 편년의 현상과 성찰 / 김성남(백제고도문화재단) 토론 1. 한강유역 및 중서부지역 원삼국 및 백제토기 편년과 관련하여 / 박순발(충남대학교 고고학과) 2. 風納土城의 年代와 百濟土器 漢城樣式의 成立 / 이성주(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3. 신라·가야·백제 고고학자료의 교차편년 / 최병현(숭실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394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제10회 매산기념강좌) 개회(14:00) 김정렬(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개회사 권영국(한국기독교박물관장) 축 사 한헌수(숭실대학교 총장) 기조강연(14:30-15:00) 원삼국시대 와질토기 논쟁, 그 후 최병현(숭실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주제발표(15:00-16:50) 1. 戰國 灰陶 및 樂浪土器와 中部地域 打捺文土器의 展開 – 김무중 2.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발생과 전개 – 취락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한지선(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3. 중부지역 마한 분묘 출토 토기류의 성격 – 2세기대 유적을 중심으로 – 지민주(가경고고학연구소 연구원) 종합토론(17:00-18:30) 좌장 및 토론사회 : 권오영(한신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질의 및 토론 : 성정용(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경신(한국기독교박물관 학예연구사) 476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외래계 유물과 낙랑(제9회 매산기념강좌) <제1부 : 중부지역 외래계 신자료> 1. 북한강 유역 원삼국시대 외래계 토기 / 홍주희(강원고고문화연구원 연구원) 2. 한강 하류역 원삼국시대 외래계 유물 / 김기옥(한강문화재연구원 연구원) 3. 임진강 유역 원삼국시대 외래계 유물 / 황윤희(고려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제2부 : 주제 발표> 제1주제 : 漢江 下流域의 漢式系土器 /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제2주제 : 中部地域 原三國時代 鐵器를 통해 본 樂浪 / 김무중(중부고고학연구소장) <종합토론> 좌장 및 토론사회 : 권오영(한신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질의 및 토론 : 김새봄(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원) 신희권(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장) 오영찬(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387
한국 청동기와 그 제작기법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제8회 매산기념강좌) 제1주제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용범과 청동기로 본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새로운 이해 —————————————————————— 조진선(전남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제2주제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료를 통해서 본 武器形 靑銅器 제작기법 -湯口의 처리방법을 중심으로- ——————————————————————-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교 교수) 제3주제 鑄型から見た銅劍の變遷 -日本の初期靑銅器生産段階ね中心として- ——————————————————————宮本一夫(九州大學 교수) 종합토론 銅劍의 變遷과 分布를 중심으로 ——————————————————————이청규(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솢아품을 중심으로 살펴 본 ‘한국 청동기와 그 제작기법’에 대한 토론요지 ——————————————————————이후석(중부고고학연구소 연구원) 301
중도식무문토기의 전개와 성격(제7회 매산기념강좌) 제1주제 –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동북아시아에서 타날문 단경호의 확산 제2주제 – 유은식(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동북계토기로 본 강원지역 중도식무문토기의 편년과 계통 제3주제 – 이성주(강릉원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原三國時代의 無文土器 傳統 제4주제 – 한지선(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중도식 경질무문토기의 기능과 사용법 종합토론 좌장 및 토론사회 : 김무중(중부고고학연구소장) 논평 및 토론 : 권오영(한신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이재현(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장) 이영철(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장) 416
조선후기 화원의 사행(使行)과 회화(제6회 매산기념강좌) 제1주제 조선후기 중ㆍ일 사행기록화의 비교적 고찰(권혜은/충현박물관 학예사) 제2주제 <연행도>와 김홍도의 己酉冬至使行(박효은/홍익대 강사) 제3주제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연행도>와 김홍도ㆍ이명기ㆍ이인문의 화풍 (진준현/서울대 박물관 학예연구관) 토론 좌장 및 토론사회: 이원복(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논평 및 토론: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이수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295